올해 자동차를 구매하면서 예상치 못한 비용이 추가적으로 들었다. 바로 자동차 취득세! 나는 더뉴 투싼(NX4) 하이브리드 2WD를 구매했는데, 이에 따른 자동차 세는 약 226만원 정도이며 그 외 자동차 번호판 등의 비용을 추가로 낸다. 약 234만원정도 자동차 등록비용으로 지출하게 되었다. 예상치 못한 지출이다. 이래서 자동차를 구매하면 보험료 및 유지비가 든다고 하는구나. 그래서 알아보니 2025년을 기점으로 자동차 취득세에 대한 정책이 변경되면서 나같이 올 해 신차 구입을 계획하는 사람들을 위해 포스팅을 올려본다. 만약 내가 작년에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매했다면 자동차 취득세를 약 30만원 정도 더 혜택받았을 것 같다. 자동차 취득세는 자동차를 구매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, 이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의 자동차 취득세 정책을 살펴보려고 한다.
자동차 취득세란?
자동차 취득세는 차량을 구매할 때 부과되는 세금으로, 차량의 가격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. 이 세금은 차량의 종류, 배기량, 그리고 구매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감면 혜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.
1. 다자녀 가구 기준 완화
변경내용 : 다자녀 가구의 기준이 기존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되었습니다.
혜택 : 2자녀를 둔 가정도 자동차 취득세의 50%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여겨집니다.
2.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혜택 연장
변경 내용 :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의 자동차 취득세와 자동차세 100% 감면 혜택이 2027년까지 연장됩니다.
혜택 : 보훈보상대상자는 기존처럼 50% 감면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.
3. 친환경차 세제 혜택 변화
변경 내용 : 전기차와 수소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및 취득세 감면 혜택이 연장됩니다.
하이브리드차 : 하이브리드차의 개별소비세 감면 한도가 100만원에서 70만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.
2024년까지는 취득세의 40만원을 감면해주었으나 2025년에는 없습니다.
* 내가 여기 딱 걸림. T>T
4. 경차 및 장애인 구매차 감면
경차와 장애인 구매차에 대한 취득세 감면이 연장됩니다.
경차는 최대 75만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으며, 장애인 구매차는 100% 면제 혜택이 유지됩니다.
자동차 취득세 계산방법
자동차 취득세 계산 방법 :
자동차 취득세는 차량의 가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1. 기본세율 : 차량 가격의 5%가 기본 세율입니다.
2. 감면 적용 : 위에서 언급한 감면 혜택을 적용하여 최종 세금을 계산합니다.
취득세 납부는 어디서?
나는 자동차를 등록시 납부하기로 하였다. 자동차 판매 대리점에서 해주실 예정이다. 나도 은행 납부인데 가상계좌번호를 알려주신다고 했다.
그 외에 각 지여그이 지방세청, 지방자치단체의 세무과 웹사이트, 지정된 은행에서 납부가 가능하다.
* 자동차 취득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 및 납부해야 하며, 상속의 경우 상속 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이다.
* 자동차 취득세 납부시 필요한 서류 : 자동차 취득세 신고서, 자동차 양도 증명서, 자동차 보험 가입 증명서, 추득 물건에 대한 증빙서류(취득가액, 취득이르 취득자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, 예를 들어 매매계약서나 영수증), 신부증 사본
결론
2025년 자동차 취득세 정책을 고려해서 자동차를 구매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 자동차 구매를 계획하고 있다면, 이러한 세제 혜택을 잘 활용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. 자동차 취득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, 최신 정책을 반양한 현명한 소비를 모두 하시길 바랍니다. ^^
'경제 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대 투싼 하이브리드 리뷰: 연비, 주행 경험, 장단점 총정리 (0) | 2025.03.31 |
---|---|
현대 더 뉴 투싼 하이브리드, 내 차 선택의 이유 (0) | 2025.02.08 |
1년에 천만원 도전, 푼돈 사냥꾼이 알려준 비밀, 오일리스킨, 위즈덤하우스 (2) | 2025.02.01 |
케이뱅크 복주머니 이벤트로 매일 추가 포인트 쌓는 비법(~1.31) (4) | 2025.01.26 |
대충특별시? 대전, 충남 행정통합, 빠르면 2026년에? (0) | 2025.01.26 |